안녕하세요 파피푸입니다.
이번 주제로는 그래픽카드에 대한 성능을 비교한 내용을 다루어보려고 합니다.
다만 이전 리뷰글과의 다른점은 최신 그래픽카드가 아닌 출시된 지 2년 정도 지난 제품에 대해서 전달드리려고 합니다.
소개해드릴 제품은 intel SPARKLE ARC A380, A750, A770 3가지 제품들입니다.
A시리즈라 부르는 제품이며 다음버전으로는 24년 말에 출시된 Arc B580 제품군이 있습니다.
곧 Arc B770 제품들도 출시된다고하니 얼마만큼의 성능향상을 이끌어 냈을지가 관건이 될 것 같습니다.
추후 이 글을 참고하여 비교하면 비교성능으로 좋겠죠? ㅎㅎ
[목차]
1. 벤치마크 Test 사양
2. Test 프로그램 및 환경
3. 그래픽카드 세부스펙 비교
4. 벤치마킹 성능 분석
5. 총평 및 결론
1. 벤치마크 Test 사양
그래픽카드를 일반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가장 직관적인 방법은 동일한 조건에서 그래픽 카드만교체해가면서 벤치마크 점수를 비교하는 방법입니다. 이번 평가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데스크톱컴퓨터의 세부 스펙을 전달드리겠습니다.
여러 부품 조합에 따라 성능이 다르게 나올수 있다는 점 전달드리며 시작하겠습니다.
(1) 메인보드 : GIGABYTE Z790 UD
(2) CPU : intel i7-13700
(3) COOLER : DEEPCOOL AG620 (공랭)
(4) RAM : SAMSUNG DDR5-5600 64GB (32GB x 2ea)
(5) SSD : SAMSUNG PM9A1 M.2 NVMe 1TB
(6) POWER : 마이크로닉스 Classic2 풀체인지 700W 80 PLUS 브론즈
(7) CASE : 마이크로닉스 GH5-MIDAS Black
(8) OS : windows 11 pro
2. Test 프로그램 및 환경
25년 2월 15일 까지의 윈도우 및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 최신화 설치하였습니다.
업데이트마다 최신화 벤치마크에 대한 지원도 있기 때문에 업데이트별 벤치마크 점수가 크게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점수를 너무 맹신하시면 안 됩니다.
또한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다양한 벤치마크를 수행했습니다. 이번 비교에서는 3DMark, VRMark, PassMark, Geekbench, Superposition Benchmark, 몬스터헌터, 사이버펑크 2077 등의 테스트 결과를 기반으로 각 제품의 성능을 분석하겠습니다.
3. 그래픽카드 세부스펙 비교
당연히 각각의 제품들을 비교하려면 세부정보들을 비교해야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아키텍처나 기본클럭들을 비교해야 하죠. 최적화에 따라서 성능이 부족하더라도 점수가 더 잘 나올 수는 있지만 그래도 기본 성능이라는 걸 무시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으니까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그래픽카드 GPU-z 프로그램에서 표시되는 측정값을 기준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그래픽카드 | 제조사 | 아키텍처 | 출시년도 | PCIe | 메모리 | 대역폭 (GB/s) |
기본클럭 (MHz) |
TDP |
RTX 3060 | NVIDIA | Ampere | 2021 | x16. 4.0 | 12GB GDDR6 | 360GB/s | 1320MHz | 170W |
A380 | Intel | Alchemist | 2022 | x8 4.0 | 6GB GDDR6 | 186GB/s | 2000MHz | 75W |
A750 | Intel | Alchemist | 2022 | x16. 4.0 | 8GB GDDR6 | 512GB/s | 2050MHz | 225W |
A770 | Intel | Alchemist | 2022 | x16. 4.0 | 16GB GDDR6 | 560GB/s | 2100MHz | 225W |
RTX 4060 | NVIDIA | Ada Lovelace | 2023 | x8 4.0 | 8GB GDDR6 | 272GB/s | 1830MHz | 115W |
RTX 4070 | NVIDIA | Ada Lovelace | 2023 | x16. 4.0 | 12GB GDDR6X | 504GB/s | 1920MHz | 200W |
추가로 금액적인 부분을 생각 안 할 수 없겠죠?
그래픽카드 | 금액 |
3060 | 42만원 |
a380 | 18만원 |
a750 | 26만원 |
a770 | 35만원 |
4060 | 49만원 |
4070 | 91만원 |
# 25년 2월 기준 컴퓨존 가격 전달드립니다! 변동성이 있으니 참고만 해주세요.
금액/스펙 정보로만 보면은 intel 제품들이 참으로 매력적으로 보이는데요. 다음 벤치 점수를 확인 후에 다시 한번 말씀드리겠습니다. ㅎㅎ
4. 벤치마킹 성능 분석
① 3DMark 벤치마크
표 1 (포트로얄, 타임스파이, 파이어스트라이크,스틸노마드)
그래픽카드명 | Port Royal (프레임) |
Time Spy (그래픽) |
Time Spy (익스트림) (그래픽) |
Fire Strike (그래픽) |
Steel Nomad (프레임) |
RTX 3060 | 5166 (23.92 FPS) | 9599 (8771) | 4592 (4196) | 22309 (22962) | 1959 (19.6 FPS) |
A380 | 1035 (4.79 FPS) | 4502 (3963) | 2073 (1819) | 8578 (8911) | 763 (7.64 FPS) |
A750 | 6430 (29.77 FPS) | 12939 (12207) | 6294 (5912) | 25516 (26372) | 2576 (25.76 FPS) |
A770 | 7388 (34.20 FPS) | 13979 (13855) | 7025 (6684) | 27947 (29059) | 3011 (30.11 FPS) |
RTX 4060 | 5962 (27.60 FPS) | 11314 (10470) | 5267 (4866) | 27108 (28374) | 2250 (22.51 FPS) |
표에 대한 설명으로는 다른 외부적, 설계적 요인을 제외한 딱 점수로만 평가/설명드리고 나중에 총평으로 결론을 드리겠습니다.
intel의 A380제품의 경우에는 보급형으로 점수에서 직관적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다른 제품에 비해서 점수가 조금 낮게 나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간에서는 Arc A770의 경우 RTX 3060/3060 Ti 제품과 보통 비교를 합니다.
intel Arc 제품에 대해 3D MARK에서는 최적화가 잘 되어 있는지 벤치마크 테스트에 있어서는 A770제품이 압승을 하는 점수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실제에서도 이 정도 가성비에 이정도 성능이면 구매를 안 할 이유가 전 혀 없는 결과였습니다.
표 2 (Raytracing, DLSS or Xess, PCMARK, VRMARK)
그래픽카드명 | DX Raytracing | DLSS or XeSS | PC MARK | VRMark (Orange) | VRMark(Blue) |
RTX 3060 | 19.49 FPS | on 59.26 FPS off 23.75 FPS |
8383 | 12555 | 2621 |
A380 | 8.17 FPS | on 21.75 FPS off 4.28 FPS |
7440 | 5380 | 807 |
A750 | 28.7 FPS | on 69.03 FPS off 27.15 FPS |
8254 | 15526 | 2674 |
A770 | 33.21 FPS | on 63.79 FPS off 31.02 FPS |
8368 | 16725 | 3053 |
RTX 4060 | 26.35 FPS | on 56.00 FPS off 11.96 FPS |
- | 15782 | 3002 |
steam 3DMark 에는 다양한 벤치마크 테스트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게임할 때 빛반사, 굴절, 그림자 등등 화면을 조금 더 부드럽게 보완해 주는 Raytracing성능을 테스트해 주거나, 고품질의 이미지 해상도 출력을 도와주는 DLSS, 그 외에도 사무용 컴퓨터로 사용 시 점수화해 주거나, VR용 테스트를 진행해 주는 벤치마킹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참고 삼아서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아서 공유드립니다.
DX Raytracing : 다이렉트 레이트레이싱을 켜고 실행했을때의 프레임 측정 비교
DLSS / XeSS : Nvidia에서는 DLSS, intel에서는 Xess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을 키고 껐을 때의 프레임 비교
PC MARK : 사무용, 학습용으로 PC를 사용할 때 비교하는 프로그램
VRMARK : VR프로그램 사용 시 성능비교 프로그램.
전체적인 점수를 비교했을 때 여기서도 3060 < A750 = 4060 < A770의 점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벤치마크 점수만을 비교한 평가표입니다. 참고만 해주세요.
② 다양한 벤치마크 프로그램 (PASSMARK, Geekbench, Superposition)
그래픽카드명 |
PASSMARK | Geekbench | Superposition | |||
openGL FHD | 다이렉트 FHD | openGL 8K | 다이렉트 8K | |||
RTX 3060 | 2D (1379) 3D (18839) |
92822 (openCL) | 14152 | 15189 | 2809 | 2979 |
A380 | 2D (881) 3D (6880) |
40416 (openCL) | 6606 | 6290 | - | 990 |
A750 | 2D (973) 3D (13365) |
104258 (openCL) | 20639 | 18957 | 3255 | 2946 |
A770 | 2D (990) 3D (14572) |
115209 (openCL) | 23647 | 21858 | 3675 | 3244 |
RTX 4060 | 2D (1538) 3D (22074) |
103965 (openCL) | 17651 | 19139 | 2891 | 3036 |
3DMARK 프로그램 외에도 다양한 벤치마크 프로그램 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여러 프로그램을 실행해 보고 점수를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여기서부터 점점 더 점수의 혼돈이 오기 시작하는 부분입니다. 3DMARK의 경우 워낙 대중적인 벤치마크 프로그램이다 보니 최적화가 잘되어 있어서 intel Arc가 점수가 높게 나왔습니다.
PASSMARK 프로그램에서는 오히려 RTX 3060/4060 시리즈가 Arc A시리즈 점수보다 높게 나오는 부분을 확인하였습니다.
Geekbench의 경우에는 이전 3DMARK 점수와 비슷하게 나왔습니다.
Superposition 벤치마크에서는 좀 더 다양한 API를 활용한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3D 그래픽을 처리하는 두 가지 대표적인 OpenGL / DirectX 응용프로그램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두환경에서 테스트한 결과 NVIDIA 제품의 경우에는 다이렉트로 실행하면 점수가 높게 측정되었고, intel Arc의 경우에는 openGL의 환경에서 더 높에 나왔습니다.
결과만 놓고 보자면 intel의 제품들은 다이렉트 환경보다 OpenGL 환경에 더욱 최적화가 되어있다는 결과입니다.
그리고 일반적인 유저들이 사용하는 OS는 윈도우 기반이기 때문에 대중적인 측면에서 NVIDIA의 RTX의 손을 들어줄 수밖에 없겠네요.
#다이렉트는 Windows에 최적화된 API입니다.
# 추세는 성능이 부족한 openGL -> Vulkan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③ 게임벤치마크 1 (몬스터헌터와일즈)
그래픽카드명 | 높음 | 울트라 | 울트라 (프레임생성) |
울트라 레이트레이싱 |
울트라 레이트레이싱 (프레임생성) |
XeSS | XeSS (프레임생성) |
RTX 3060 | 15942 (46.79 FPS) |
14225 (41.82 FPS) |
- | 13061 (38.43 FPS) |
- | - | - |
A380 | - | - | - | - | - | - | - |
A750 | 8970 (26.46 FPS) |
7101 (20.88 FPS) |
6257 (36.38 FPS) |
- | 5827 (33.78 FPS) |
7569 (22.29 FPS) |
7167 (21.11 FPS) |
A770 | 8354 (24.57 FPS) |
7759 (22.80 FPS) |
7012 (41.05 FPS) |
7027 (20.60 FPS) |
6459 (37.56 FPS) |
8317 (24.50 FPS) |
7665 (22.55 FPS) |
RTX 4060 | 19360 (56.9 FPS) |
16013 (47.24 FPS) |
11360 (66.56 FPS) |
- | 11006 (64.44 FPS) |
- | - |
RTX 4070 | - | 26770 (78.93 FPS) |
- | - | 18440 (107.8 FPS) |
- | - |
25년 2월 28일경 출시 예정인 몬스터헌터 와일즈 steam에서 벤치마킹 프로그램을 무료로 다운로드하여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각각 다양한 설정으로 test를 진행하였습니다. NVIDIA의 경우 DLSS설정이 되는 반면 intel Arc는 XeSS기능을 커스텀을 통해서 켜주어야 실행이 되어 따로 표기해 놓았습니다. 울트라와 비교를 하였을 때 점수와 프레임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intel에서 아직 최신게임이라 최적화 진행이 부족하였는지 압도적으로 RTX제품군의 점수가 높게 측정되었습니다.
단. 4060의 경우 Vram용량이 8GB로 3060/A770 제품군보다 부족합니다. 따라서 Vram 사용량이 큰 프레임생성이나 레이트레이싱의 실행에 있어서 제한 사항이 발생할 수 있으니 이점 참고하세요.
④ 게임벤치마크 2 (사이버펑크 2077)
그래픽카드명 | 울트라 | 울트라 레이트레이싱 | 오버드라이브 레이트레이싱 |
RTX 3060 | 51.56 FPS | 39.99 FPS | - |
A380 | - | - | - |
A750 | 68.52 FPS | 32.20 FPS | - |
A770 | 74.93 FPS | 48.85 FPS | 24.85 FPS |
RTX 4060 | 86.91 FPS | 46.02 FPS | - |
RTX 4070 | 132.59 FPS | 128.39 FPS | - |
다이렉트 기반이긴 하지만 출시된 지 1년가량 된 사이버 펑크의 경우 3060 < A770 < 4060 정도의 점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점수는 점수일 뿐 사람의 시각, 느낌은 점수와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세요.
4. 총평 및 결론
글을 읽어주시는 분들은 결론이 가장 궁금하실 텐데요..
결론만 먼저 말씀드리고 설명드리겠습니다.
✅ 결론
- A750/A770 → 특정 벤치마크에서 RTX 3060을 능가하지만, 드라이버 최적화 문제로 성능이 불안정
가성비 업무적인 그래픽카드가 필요하신 분들께는 A750, A770 제품이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게임, 영상 등 그래픽카드의 성능이 필요하신 분들에게는 RTX를 조금 더 우선순위에 놓고 싶습니다.
💡 분석 1
초기 출시가격은 ARC 제품들은 가격이 높았지만 지금은 수요가 부족하다 보니 가격대가 많이 내려가있는 상태입니다.
벤치마크 수치상으로만 보더라도 적당한 그래픽카드가 필요하신 분들에게는 가격대비 성능적인 측면에서 추천드립니다. 단지 모니터와의 호환성 확인이 필요한 부분이 있고, 벌래 날개소리라고들 표현하는 코일의 지지직 거리는 소음이 사용률이 높아질수록 멀리서도 들릴 정도로 크게 발생합니다. #소음 차이로 인해서 저는 선택을 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 분석 2
게임별로 최적화에 따른 성능차이도 크게 발생하고 실제 화면을 보았을 때 제 개인적인 시각으로는 RTX 제품이 조금 더 생동감 있게 느껴졌습니다. #개인관점입니다 ^^
ARC 장점으로는 A770의 경우 3열쿨링펜이어서 외관적으로 크고 멋지다? ㅎㅎ
가장 중요한부분은 지속적인 업데이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테스트도중 그래픽드라이버 업데이트가 발생해서 처음부터 다시 측정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러한 부족한 부분들을 보완해서 최근에는 intel ARC B750이 출시되었다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ABCD순으로 출시계획인 거 같은데 어느 정도의 성능을 보여줄지 궁금하긴 하네요.
#업데이트마다 성능이 좋아진다는 풍문들이 많습니다. 기대합니다.
AMD, INTEL, NIVIDIA 치열한 경쟁을 통해서 소비자가 원하는 그래픽카드를 싸게 공급받을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ㅎㅎ
여기까지 간략하게 Intel ARC A380, A750, A770성능을 NVIDIA 3060, 4060 사양과 비교하여 보여드렸습니다.
다음에는 수치가 아닌 시각적으로 바로 알 수 있게 그래프를 활용해 보아야겠습니다. 가독성이 떨어지네요 ㅎㅎ
가독성이 떨어지는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TMI
4060의 경우 PCIe 배율이 8배에 VRAM이 8GB입니다.
3060 사양의 PCIe 16배속에 12GB보다 부족한 거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드실 수 있습니다.
이는 새로운 아키텍처( Ada Lovelace )의 개선으로 어느 정도 성능향상 및 사용전력 절감이 있었기에 가능한 부분입니다.
또한 L2케쉬라 불리는 영역의 크기가 기존에 비해 8배 이상 용량이 늘었습니다.
따라서 PCIe를 통해 메인보드 RAM을 활용하기보다 L2케쉬를 사용하고 부족한 VRAM 또한 어느 정도 커버하면서 전성비 효율을 증가시켰기 때문에 성능이 줄었다고 표현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그래도 VRAM이라도 늘려주었으면 좋겠는데요 ㅎㅎㅎ
#PCIe 4.0 메인보드 기준입니다.
'컴퓨터 Story > 제품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D CPU Ryzen5 8600G (피닉스) 간단 성능 테스트 [ 7600 vs 8600G ] (1) | 2024.04.24 |
---|---|
[CPU] AMD Ryzen5 7600 VS Ryzen5 Pro 7645 성능비교 (0) | 2023.09.13 |
[VGA] 그래픽카드 RTX 4090/4080/4070 벤치마크 성능 비교 (1) | 2023.05.26 |
AMD 5세대 CPU 라파엘 성능 테스트 [ AMD 7000 series VS Intel 13세대 ] (3) | 2023.01.31 |
INTEL 13세대 CPU 성능 벤치마크 테스트 [i3-13100, i5-13500, i7-13700] (3) | 2023.01.04 |